Title : 화랑미술제로 보는 국내 미술시장의 흐름
Keyword :
Writer: 박상하
Main text:

2025 화랑미술제 전경. 이미지 제공: 화랑미술제
화랑미술제는 1979년 시작된 국내 최초이자 최장수 아트페어로, 한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주요 갤러리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이자, 매년 상반기 국내 미술시장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행사이다. 올해 화랑미술제는 국내 정상급 갤러리 168여 곳이 참여한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신진 작가를 선보이는 특별전인 ZOOM-IN Edition 6,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아트 & 아티스트 토크, 올해 새롭게 구성된 테마형 도슨트 프로그램이 있다. 지난 주간 글에서 아트 바젤 홍콩 2025를 통해 국제적인 미술시장의 동향을 살펴보았다면, 이번에는 2025 화랑미술제를 통해 국내 미술시장의 흐름을 읽어보고자 한다.
1. 중저가 작품 거래의 활성화는 미술시장의 균형을 잡아주었을까
올해는 중저가 작품 관련 거래가 증가했다. 일반인들의 작품 구매량이 늘며 시장 파이가 늘어났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도 있겠으나, 거래된 작품들의 일부가 작품성이 아쉽다는 평이 있었다. 이는 정보가 부족한 소비자가 질 낮은 제품을 선택하는 현상, 즉 레몬시장이 되어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레몬시장 이론은 정보의 비대칭성, 즉 판매자는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지만 구매자는 관련 정보를 제대로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질 낮은 제품을 선택할 수밖에 없음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2. 관람객과 예술의 징검다리가 되어준 테마형 도슨트 프로그램
한편으로 올해 화랑미술제에서는 테마형 도슨트 프로그램이라는 새로운 시도가 돋보였다.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 ‘삶을 위로하는 예술’, ‘조각·미디어아트: 예술의 확장’이라는 세 가지 테마로 구성되었으며, 예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 프로그램은 모든 세션이 매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호평을 받은 것으로 보아 아트 페어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건강한 시장 형성의 출발점으로 보이기도 한다.
3. ‘널 위한 문화예술’및 ‘아트스푼’과의 협력을 통해 읽어보는 아트페어의 운영 방향성
젊은 세대가 디지털 매체를 잘 활용하는 것에 맞춰 화랑미술제도 예술 관련 콘텐츠를 다루는 유튜브 채널 ‘널 위한 문화예술’과 협업하여 오디오 도슨트를 제작하고, ‘아트스푼’과의 협업을 통해 디지털 지도를 만들어 휴대폰으로 원하는 갤러리의 위치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미술제에 참여하지 못한 사람들도 전자도록을 통해 읽어볼 수 있었다. 변화하는 세대에 맞게 익숙한 매체와 인지도가 높은 유튜브 채널과의 콜라보로 정보 수집에 대한 벽을 허물고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으로 보인다.
소비는 시장을 만들고, 시장은 소비층을 따른다. 화랑미술제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것은 젊은 소비층의 증가와 연결지었고, 중저가 작품의 판매율 증가는 시장 형성적인 측면에서 어떤지를 살펴보았다. 소비자는 어떤 방향성을 추구해야 하는가. 유명이라는 반짝임에 이끌리기보다, 먼저 작가의 의도가 작품에 잘 드러났는지 살펴보는 비평적인 안목을 가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테마형 도슨트가 뜨거운 반응을 얻은 것은 일반적인 대중 또한 미술이라는 분야에 있어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대중의 시선에 맞춘 프로그램을 통해 누구나 예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손을 내미는 시도를, 그 문을 끊임없이 두드려주길 바란다.
참조 및 출처 표기(References and Sources):
https://hwami.org/program/zoom-in/?utm_source=chatgpt.com.
- 정유철, 2025 화랑미술제, 전통과 새로움이 교차하는 예술적 경험 제공**,** K스피릿, 2025.04.20 https://www.ikoreanspirit.com/news/articleView.html?idxno=79761.
- 서은내, 화랑미술제, 1000만원 이하 중저가품 중심 거래 확고**,** 더벨, 2025.04.22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4210943015720101187&svccode=&utm_source=chatgpt.com.
- 오소영, 43년의 역사를 이어, 4월 코엑스에서 열리는 화랑미술제, ****마리끌레르 코리아, 2025.03.17 https://www.marieclairekorea.com/culture/art/2025/03/galleries-art-fair/.
- 박소희, [따끈따끈 시사용어] 레몬시장 이론, 단비뉴스, 2011. 07. 08
https://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97.
AITHER
아이테르 / 갤러리 / 문화예술콘텐츠기획
DIRECTOR. GONG MYEONGSEONG.
ADDRESS. (48737) 21, BEONIL-RO 65BEON-GIL, DONG-GU, BUSAN, REPUBLIC OF KOREA.
PARKING : Jin Market public parking lot
4F EXHIBITION.
5F LOUNGE.
6F WAREHOUSE.
ONLINE CS. MON TO SAT 10:00-18:00.
CONTACT. 051-977-5272 | SCK02145@NAVER.COM | https://aither.kr/
INSTA. @aither.kr | YOUTUBE. www.youtube.com/@AITHERART
FAX. 0504-322-2379
#부산전시 #부산전시대관 #부산갤러리 #아이테르 #지원사업 #부산작업실 #작가 #부산작가 #예술경영 #대안공간 #작가공모 #갤러리스트 #청년작가 #미술 #Korea art #예술정책 #Busan art #예술협회아이테르 #예술 #전시 #서울전시 #큐레이터 #전시회 #현대미술 #미술관 #아트 #아트갤러리 #아트컬렉터 #아트커뮤니티 #아트마켓 #아트쇼 #아트페어 #아트워크 #아트디렉터 #아트라이프 #아트컬처 #아트스타그램 #아트로드 #아트월드 #아트레이트 #아트포럼 #아트매거진 #아트카페 #아트프로젝트 #아트피스톨 #아트퍼포먼스 #아트콜렉션 #아트컨설팅 #아트디자인 #아트페스티벌 #아트워크샵 #아트인스타그램 #아트컨템포러리 #아트세일 #아트마케팅 #아트프로그램 #아트갤러리투어 #아트센터 #아트콘텐츠 #아트컬렉션 #아트페스티벌 #아트스쿨 #아트워크샵 #아트웍북 #아트케이프 #아트마켓플레이스 #아트프로모션 #아트스케치 #아트프린트 #아트웍샵 #아트코디네이터 #아트콜라보레이션 #아트카페 #아트세션 #아트트렌드 #아트에디션 #아트워크프로젝트 #아트패션 #아트뉴스 #아트로맨틱 #아트창작 #아트인테리어 #아트퍼블리싱 #아트피스 #아트디렉션 #아트플랫폼 #아트펀딩 #아트스쿨 #아트시네마 #아트영상 #아트이벤트 #아트카탈로그 #아트포럼 #아트프로모션 #아트마켓 #아트라이프 #아트콘텐츠 #아트토크 #아트이벤트 #아트워크샵 #아트스쿨 #아트마케팅 #아트챌린지 #아트컨설팅 #아트소셜네트워크 #아트웍스페이스 #아트활동 #아트페스티벌 #아트마케팅 #아트브랜딩 #아트캠프 #아트포럼 #아트투어 #아트콘셉트 #아트퍼포먼스 #아트워크숍 #아트마케팅 #아트콜라보레이션 #아트프로그램 #아트창작 #아트테라피 #아트컨템포러리 #아트스케치 #아트리더 #아트콘서트 #아트뮤지엄 #아트강연 #아트워크샵 #아트파티 #아트콘텐츠 #아트페어 #아트프로젝트 #아트플래닛 #아트피크닉 #아트컬쳐 #아트로맨스 #아트워크투어 #아트투어 #아트캘리지 #아트투게더 #아트스케치북 #아트블로그 #아트와인 #아트레슨 #아트스쿨 #아트프로젝트 #아트웍샵 #아트디렉션 #아트마케팅 #아트콘텐츠 #아트인테리어 #아트클래스 #아트퍼포먼스 #아트플랫폼 #아트포럼 #아트리더십 #아트투어 #아트플랫폼 #아트감상 #아트콘서트 #아트프로모션 #아트워크샵 #아트카페 #아트페스티벌 #아트워크샵 #아트코리아 #아트교육 #아트프로그램 #아트카페 #아트공방 #아트캠프 #아트교실 #아트모델 #아트워크

[ Curation Trend ]
We look in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trends and share insights gained.
국내 및 해외학술지, 공공데이터 포털DB를 바탕으로 국내/외 미술전시 경향을 살펴보고 얻는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Title : 화랑미술제로 보는 국내 미술시장의 흐름
Keyword :
Writer: 박상하
Main text:
2025 화랑미술제 전경. 이미지 제공: 화랑미술제
화랑미술제는 1979년 시작된 국내 최초이자 최장수 아트페어로, 한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주요 갤러리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이자, 매년 상반기 국내 미술시장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행사이다. 올해 화랑미술제는 국내 정상급 갤러리 168여 곳이 참여한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신진 작가를 선보이는 특별전인 ZOOM-IN Edition 6,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아트 & 아티스트 토크, 올해 새롭게 구성된 테마형 도슨트 프로그램이 있다. 지난 주간 글에서 아트 바젤 홍콩 2025를 통해 국제적인 미술시장의 동향을 살펴보았다면, 이번에는 2025 화랑미술제를 통해 국내 미술시장의 흐름을 읽어보고자 한다.
1. 중저가 작품 거래의 활성화는 미술시장의 균형을 잡아주었을까
올해는 중저가 작품 관련 거래가 증가했다. 일반인들의 작품 구매량이 늘며 시장 파이가 늘어났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도 있겠으나, 거래된 작품들의 일부가 작품성이 아쉽다는 평이 있었다. 이는 정보가 부족한 소비자가 질 낮은 제품을 선택하는 현상, 즉 레몬시장이 되어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레몬시장 이론은 정보의 비대칭성, 즉 판매자는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지만 구매자는 관련 정보를 제대로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질 낮은 제품을 선택할 수밖에 없음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2. 관람객과 예술의 징검다리가 되어준 테마형 도슨트 프로그램
한편으로 올해 화랑미술제에서는 테마형 도슨트 프로그램이라는 새로운 시도가 돋보였다.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 ‘삶을 위로하는 예술’, ‘조각·미디어아트: 예술의 확장’이라는 세 가지 테마로 구성되었으며, 예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 프로그램은 모든 세션이 매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호평을 받은 것으로 보아 아트 페어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건강한 시장 형성의 출발점으로 보이기도 한다.
3. ‘널 위한 문화예술’및 ‘아트스푼’과의 협력을 통해 읽어보는 아트페어의 운영 방향성
젊은 세대가 디지털 매체를 잘 활용하는 것에 맞춰 화랑미술제도 예술 관련 콘텐츠를 다루는 유튜브 채널 ‘널 위한 문화예술’과 협업하여 오디오 도슨트를 제작하고, ‘아트스푼’과의 협업을 통해 디지털 지도를 만들어 휴대폰으로 원하는 갤러리의 위치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미술제에 참여하지 못한 사람들도 전자도록을 통해 읽어볼 수 있었다. 변화하는 세대에 맞게 익숙한 매체와 인지도가 높은 유튜브 채널과의 콜라보로 정보 수집에 대한 벽을 허물고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으로 보인다.
소비는 시장을 만들고, 시장은 소비층을 따른다. 화랑미술제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것은 젊은 소비층의 증가와 연결지었고, 중저가 작품의 판매율 증가는 시장 형성적인 측면에서 어떤지를 살펴보았다. 소비자는 어떤 방향성을 추구해야 하는가. 유명이라는 반짝임에 이끌리기보다, 먼저 작가의 의도가 작품에 잘 드러났는지 살펴보는 비평적인 안목을 가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테마형 도슨트가 뜨거운 반응을 얻은 것은 일반적인 대중 또한 미술이라는 분야에 있어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대중의 시선에 맞춘 프로그램을 통해 누구나 예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손을 내미는 시도를, 그 문을 끊임없이 두드려주길 바란다.
참조 및 출처 표기(References and Sources):
https://hwami.org/program/zoom-in/?utm_source=chatgpt.com.
https://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97.
AITHER
아이테르 / 갤러리 / 문화예술콘텐츠기획
DIRECTOR. GONG MYEONGSEONG.
ADDRESS. (48737) 21, BEONIL-RO 65BEON-GIL, DONG-GU, BUSAN, REPUBLIC OF KOREA.
PARKING : Jin Market public parking lot
4F EXHIBITION.
5F LOUNGE.
6F WAREHOUSE.
ONLINE CS. MON TO SAT 10:00-18:00.
CONTACT. 051-977-5272 | SCK02145@NAVER.COM | https://aither.kr/
INSTA. @aither.kr | YOUTUBE. www.youtube.com/@AITHERART
FAX. 0504-322-2379
#부산전시 #부산전시대관 #부산갤러리 #아이테르 #지원사업 #부산작업실 #작가 #부산작가 #예술경영 #대안공간 #작가공모 #갤러리스트 #청년작가 #미술 #Korea art #예술정책 #Busan art #예술협회아이테르 #예술 #전시 #서울전시 #큐레이터 #전시회 #현대미술 #미술관 #아트 #아트갤러리 #아트컬렉터 #아트커뮤니티 #아트마켓 #아트쇼 #아트페어 #아트워크 #아트디렉터 #아트라이프 #아트컬처 #아트스타그램 #아트로드 #아트월드 #아트레이트 #아트포럼 #아트매거진 #아트카페 #아트프로젝트 #아트피스톨 #아트퍼포먼스 #아트콜렉션 #아트컨설팅 #아트디자인 #아트페스티벌 #아트워크샵 #아트인스타그램 #아트컨템포러리 #아트세일 #아트마케팅 #아트프로그램 #아트갤러리투어 #아트센터 #아트콘텐츠 #아트컬렉션 #아트페스티벌 #아트스쿨 #아트워크샵 #아트웍북 #아트케이프 #아트마켓플레이스 #아트프로모션 #아트스케치 #아트프린트 #아트웍샵 #아트코디네이터 #아트콜라보레이션 #아트카페 #아트세션 #아트트렌드 #아트에디션 #아트워크프로젝트 #아트패션 #아트뉴스 #아트로맨틱 #아트창작 #아트인테리어 #아트퍼블리싱 #아트피스 #아트디렉션 #아트플랫폼 #아트펀딩 #아트스쿨 #아트시네마 #아트영상 #아트이벤트 #아트카탈로그 #아트포럼 #아트프로모션 #아트마켓 #아트라이프 #아트콘텐츠 #아트토크 #아트이벤트 #아트워크샵 #아트스쿨 #아트마케팅 #아트챌린지 #아트컨설팅 #아트소셜네트워크 #아트웍스페이스 #아트활동 #아트페스티벌 #아트마케팅 #아트브랜딩 #아트캠프 #아트포럼 #아트투어 #아트콘셉트 #아트퍼포먼스 #아트워크숍 #아트마케팅 #아트콜라보레이션 #아트프로그램 #아트창작 #아트테라피 #아트컨템포러리 #아트스케치 #아트리더 #아트콘서트 #아트뮤지엄 #아트강연 #아트워크샵 #아트파티 #아트콘텐츠 #아트페어 #아트프로젝트 #아트플래닛 #아트피크닉 #아트컬쳐 #아트로맨스 #아트워크투어 #아트투어 #아트캘리지 #아트투게더 #아트스케치북 #아트블로그 #아트와인 #아트레슨 #아트스쿨 #아트프로젝트 #아트웍샵 #아트디렉션 #아트마케팅 #아트콘텐츠 #아트인테리어 #아트클래스 #아트퍼포먼스 #아트플랫폼 #아트포럼 #아트리더십 #아트투어 #아트플랫폼 #아트감상 #아트콘서트 #아트프로모션 #아트워크샵 #아트카페 #아트페스티벌 #아트워크샵 #아트코리아 #아트교육 #아트프로그램 #아트카페 #아트공방 #아트캠프 #아트교실 #아트모델 #아트워크
[ Curation Trend ]
We look in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trends and share insights gained.
국내 및 해외학술지, 공공데이터 포털DB를 바탕으로 국내/외 미술전시 경향을 살펴보고 얻는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